nus.egloos.com/5772056

자기와 비슷한 부류의 사람을 싫어하는 일이 있고, 사람들은 이를 두고 '동족혐오'라고 부르기도 한다.

왜 동족혐오와 같은 일이 일어나는지 학문에 따라 자신들만의 설명을 할 수 있으리라 본다. 그게 불가능하다면 학문도 아닌 셈이고.

생물학에서는, 자기가 택한 생존전략의 희소성이 줄어들고 이것이 특정전략의 효과도 줄이는 결과를 가져온다면, 나아가 자신의 전략을 수정하기 힘든 상황에서는 동일생존전략을 택한 동종을 혐오, 나아가 도태시키려고 노력하는 일이 가능하다고 설명할 수 있다. 처세서를 읽어보지는 않았으나 저 설명을 그대로 가져와서 자신의 독창적인 생각인 듯 풀지 않을까 하는 예상을 해본다. 평범함은 잘못이니 특별해지라고 매일 짖지 않는가.

심리학에서는, 최근 심리학은 잘 모르고 구닥다리 옛날 심리학이라면, 동족의 존재는 자신으로 하여금 기피하고픈 내면을 마주하게 하고 이는 자연스럽게 동족혐오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할지도 모르겠다. 우리가 예쁘고 건전한 생각만 하고 살지도 않고 실제 모습 자체도 그렇지 않으면서도 그렇게 살 수 밖에 없기에, 그런 오점들을 박스 안에 구겨넣고 터지지 않게 혼자일 때 가끔 열어보는데, 자신을 연상시키는 이가 자신은 어떻게든 피하고픈 실수를 한다면 돌아버릴지도 모르지. 이런 설명은 뻔하면서도 만고의 진리인 한 줄로 마무리짓는다. "당신은 하나 뿐인 사람이에요. 자신을 사랑하세요."

사회학에서는 어떨까. 정체성의 위협이라는 설명 하나로 끝난다. 그만큼 정리가 잘 되어 있고 또한 온갖 예술 장르의 소재로 다루어졌다. A를 추앙하다시피 하는 B가 A옆에 붙어 있다가 A의 코스프레를 하더니 A의 인간관계까지 잠식, 급기야 A를 고립시키는 이야기는 세부요소만 바꿔 아직까지도 우려지는 사골이다. 우리는 우리 존재 자체로는 아무 의미를 갖지 못하고 사회의 관계에서 부여된 역할에 의해 의미를 얻는데, 이 고리가 깨지는 끔찍한 상황이 소위 동족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셈이다.

종교학이라면, 자신의 활력회복 모델이 자신의 동족이 갖고 있는 그것과 다를 경우 일어날 불안감을 근본원인이라 지적할 수 있다. 확실하게 성과 속으로 구분되어 있던 자신의 세계가 동족의 존재로 인하여 상당히 애매모호하게 변해버리고 이 모호함은 새로운 무엇의 가능성임에도 불구하고 당장은 활력회복 모델이 전혀 작동할 수 없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동족이 등장하여 성의 세계로 이어지는 연결을 끊어버리고 삶의 질서를 어지럽히는 셈이다.

흥미로운 점이라면 마지막에 설명한 종교학의 경우 동족과 자신과의 불일치 가능성 때문에 동족혐오가 일어난다고 본 반면 다른 학문은 완전일치가능성이 높을수록 동족혐오의 가능성도 크다고 본다. 학문적 논쟁은 이때 등장하며 자신의 입장을 변호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설명이나 주장을 하고 때로는 생각을 바꾸기도 한다. 이를테면 종교학에서도 '일치가능성이 동족혐오를 부른다'고 새로운 주장을 할 수 있고, 대부분의 사람은 다수에 속할수록 이익이 커지는 전략을 따르지(그냥 닥공하라는 부모님을 떠올리면 이해가 쉽다), 굳이 소수에 속하려고는 하지 않는다고 생물학을 공격할 수도 있다. 물론 생물학에서는 동족혐오가 소수의 이에게서 나타나는 현상이라 반박할 수 있을테고, 이 주장을 들은 사회학에서는 정체성의 위협에서 자유로운 사람은 없다고 발끈해야겠지. 심리학은 자기애와 동족혐오가 갖는 부의 상관관계를 들어 '사회가 있고 나서 사람이 있다'는 전제 자체를 부정하고 싶을테고.

그런데 주목할 점은, 동족혐오라는 현상 자체가 없는데도 저렇게 논쟁할 수 있다는 데 있다. 그리고 문제의 존재유무를 판단할 기준을 정립하는 과정은,

실은 아주 정치적이다.


+ Recent posts